[아빠가 아들에게...] '대한민족'(大桓民族)의 영원한 '민족적 울분'이 표출된 노래가 있다...1970년 영화 주제가로서 잘 알려졌던 노래다...한참 월남전이 치열한 중에 제작된 일종의 국위 선양의 목적으로 제작된 영화였다...<타향살이>...<황성옛터>...<목포의 눈물>...일제 강점하에서 민족의 울분을 달래던 노래였다...해방후 건국의 소용돌이 격동기를 거쳐서 1960년에는 나애심, 현미, 한명숙 등에 의해 주도되던 탱고 유행을 <트로트>(도롯또) 리듬으로 바꾸어 놓았다...계속 조국 근대화의 물결 속에서 1967년에 <기러기아빠>가 등장하였고...급기야 이 노래는 TBC(동양방송/오늘의 종편 JTBC 참고)의 1969년 1월 신년 라디오드라마 연속극의 주제가로 선정되었다...그리고 1970년에는 영화로도 만들어진 것이다. 이 기간 중에 아빠도 월남전에 참전 중이라서...이 영화를 보진 못했고...특히 이 노래는 멜로디가 꺾일 때마다 짙은 애환과 가슴 뭉클한 한(恨)의 정서를 도출한 작곡가 박춘석의 대중감각이나, 가수 이미자 씨의 끊어질듯 이어지는 절절한 창법이 그 당시 어느 곳에서나 대중들의 애창곡으로 부각되었단다 (하단 신문기사 참조)...게다가 시장 골목 등 한 밤중에 지나치노라면, 선술집으로부터 솓가락과 젖가락 장단에 맞춰서 곧잘 불려지던 노래였단다...<동백아가씨>와 <섬마을선생> 노래도 단골 메뉴였단다...너무도 애처럽고 슬픔을 가져다 주었기에...옛 시절을 회상하는 중에...이 노래가 무척 그리웠다...듣고 싶었다...너의 연주를 통해서...<기러기아빠>를...샬롬!! (2014.3.13)
☞대한민족(大桓民族)의 대중가요의 얼(魂)의 원류를 찾아서 [2] ㅡ <기러기 아빠> <자세히보기>
게다가 3년이 훨씬 지난 오늘, 바쁘고 피곤한 일상에서도 '기러기아빠'의 본 <바이올린버전>을 연주해줘서 아빠는 무척 고마움을 느낀다. 수고했다. 아들!! (2017.6.17/이른아침) |
◆[BGM] 영화 '기러기아빠' 주제가 ㅡ 연주/정동윤(바이올린버전)(2017)
산에는 진달래 들엔 개나리/ 산새도 슬피 우는 노을진 산골에/ 엄마 구름 애기 구름 정답게 가는데/ 아빠는 어디 갔나 어디서 살고 있나/ 아~아~ 우리는 외로운 형제 길 잃은 기러기
하늘엔 조각달 강엔 찬바람/ 재 넘어 기적소리 한가로운 밤중에/ 마을마다 창문마다 등불은 밝은데/ 엄마는 어디 갔나 어디서 살고 있나/ 아~아~ 우리는 외로운 형제 길 잃은 기러기